IP통합지원포털

사업별 문의처

사업별 담당부서가 상이하오니
신청하려는 사업을 다시 확인하신 후
해당 담당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사업 신청·접수·선정 평가 등 문의

지재권 연계 연구개발 전략지원 사업

  • 특허전략사업팀
  • 02-3287-4247, 4263

(특허·디자인 융합) 지재권 연계 연구개발 전략지원 사업

  • 융복합전략지원팀
  • 02-3287-4213 042-251-1768, 1770

표준특허 전략지원 사업

  • 표준특허전략팀
  • 02-3287-4349, 4335

R&D 전주기 IP 솔루션지원 사업

  • 범부처협력사업팀
  • 044-201-0005

시스템 문의

  • 특허전략사업팀
  • 융복합전략지원팀
  • 표준특허전략팀
  • 범부처협력사업팀

협력기관 등록, 실적증명서 발급 및 시스템 문의

ipas@kista.re.kr
특허분석방법
특허분석 개요
특허정보의 서지사항과 기술적 사항을 정리ㆍ분류ㆍ가공하여 특정목적에 부합되도록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현
method_01
특허분석을 하는 이유
기술동향 파악
종래 선행특허를 조사, 적절히 분류하고 가공하면 해당 기술분야의 기술동향은 물론 어떤 회사가 그 분야에서 기술의 우위를 점하는 지를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향후 기술을 예측할 수 있어, 향후 기술 개발방향을 설정하는 참고자료의 활용
침해가능성 판단
예컨대,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경우, 자신이 개발하고자 하는 제품 또는 기술이 이미 타인의 특허로 등록되어있는 지를 조사하고, 그 조사결과를 갖고서 자신의 기술/제품과 비교검토함으로써 향후 특허침해 가능성 문제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은, 침해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침해를 회피하는 설계방안을 도출할 수도 있음
자신의 특허등록 가능성 판단
선행특허의 기술내용 수준을 분석함으로써, 자신의 기술을 특허로 등록받아 독점권을 획득할 수 있는 지의 여부도 함께 판단 확인 가능
특허분석방법
특허 분석 방법은 기술분야, 기술의 성격 등에 따라 일률적으로 정하기는 어렵고, 통상 특허자료를 토대로 그 특허의 기술분야별로 분류정리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도표화한 특허지도(Patent Map)를 작성하는 방법을 채용

이러한 Patent Map은, 해당특허와 관련된 특허들의 기술적인 정보, 경영상의 정보, 권리정보 등을 얻을 목적으로 여러 도표, 그림의 형태로 작성

특허침해여부를 분석하는 경우에는, 특허명세서(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내용을 가지고서 침해 피의 제품(기술)과의 동일성 여부확인, 특허무효를 주장하는 경우에는 해당 특허의 특허성, 유효성을 선행특허와 기술의 목적, 구성, 효과 측면에서 비교, 검토
특허맵 목적
- 기술동향의 파악 (업계전체의 기술동향을 파악하고 기술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현재 입장과 비교함으로써 향후대책을 수립)
- 효과적인 기술개발전략 수립 및 신사업 방향결정 기초자료 수립
- 경쟁회사의 기술과 상품의 기술개발동향 및 변환 추리파악
- 타사의 이권을 침해하는 것을 방지하여 특허분쟁을 사전에 예방
- 특허전략 수립 등을 위해 작성
특허맵 활용
method_02
특허맵 작성순서
method_03
유용한 특허분석 작성 방안
- 특허분석은 명확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작성
- 예비검색 등을 통하여 적절한 분석건수를 정함
- 역할주체의 특성과 강점에 따라 팀을 구성
- 자료조사는 누락 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검색 전략식을 작성
- 기술분류시 관점은 목적에 맞게 다각화하고 분류기준은 명확히
- 다양한 분석기법 및 활용사례에 대하여 숙지
- 특허분석도구나 엑셀 등의 S/W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어야 함
- 여러 가지 분석요소를 결합하여 종합적으로 판단
- 유지보수를 감안하여 모든 작성방법과 기준을 체계적으로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