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통합지원포털

사업별 문의처

사업별 담당부서가 상이하오니
신청하려는 사업을 다시 확인하신 후
해당 담당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사업 신청·접수·선정 평가 등 문의

지재권 연계 연구개발 전략지원 사업

  • 특허전략사업팀
  • 02-3287-4247, 4263

(특허·디자인 융합) 지재권 연계 연구개발 전략지원 사업

  • 융복합전략지원팀
  • 02-3287-4213 042-251-1768, 1770

표준특허 전략지원 사업

  • 표준특허전략팀
  • 02-3287-4349, 4335

R&D 전주기 IP 솔루션지원 사업

  • 범부처협력사업팀
  • 044-201-0005

시스템 문의

  • 특허전략사업팀
  • 융복합전략지원팀
  • 표준특허전략팀
  • 범부처협력사업팀

협력기관 등록, 실적증명서 발급 및 시스템 문의

ipas@kista.re.kr
국가별 특허제도
유럽의 특허제도
유럽특허법 이념
EPO출원에 대한 발명의 보호 범위를 넓게 인정하며, EPO출원에 대한 심사는 정확하고 엄격하게 하여 EPO에서 허여된 특허는 강력하고 신뢰성이 있게 한다는 데 있다.
유럽특허조약
유럽특허협약 : (European Patent Convention : EPC)
제1조약은 유럽특허부여에 관한 조약으로 유럽특허법을 의미하며, 1973년 10월에 서명 1977년 10월 7일 발효되었다. 20개 가맹국 국가의 국내 특허의 집합이 목적인데 1 개 특허출원으로 20개 체약국 중 지정 국가에서 특허권이 발생되며, 특허침해 소송과 무효심판은 각 체약국의 법원에서 다루고 있다. 이 법은 현재 20개 가맹국에 대한 특허를 목적으로 하고 있어서 세계 어느 나라든지 유럽 특허출원이 가능하다. 유럽특허조약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 특허법 (178개조문), 시행규칙 (106개조문)
- 유럽특허허여를 신청한 권리에 대한 재판의 재판관 관할과 승인에 관한 의정서
- 유럽특허청의 특권과 면제에 관한 의정서
- 유럽특허제도의 집중화나 그 도입에 관한 의정서
- 제69조의 청구범위 해석에 관한 의정서

유럽공동체특허협약 : (Community Patent Covention : CPC) vention : EPC)
2조약은 유럽공동시장(EC)의 공동 특허를 위한 조약으로 유럽특허조약으로 CPC(Community Patent Convention)이라 한다. 1975년 12월에 서명되었고, 1992년에 발효될 예정이었으나 아직 발효되지 않고 있다. 이 조약의 특징은 공동체 특허 하나로 EC 모든 국가 특허로 간주하는 것이며, 특허 유무효에 관한 소송은 공동체 재판소(COPAC)에서 심리할 예정이다.

COPAC(Community Patent Appeal Court)
공동체 특허법원은 유럽의 제2심 법원으로서 회원국의 제1심 공동체 특허법원 및 EPO내 무효부 결정에 대한 항소심을 담당한다. 회원국내 제1심 공동체 특허법원의 판결에 불복하는 경우, 특허침해와 직접 관련이 있는 쟁점에 대해서는 COPAC로, 손해배상액의 산정이나 특허와 관련된 저작권 침해 등 직접적인 쟁점이나 특허와 직접적인 쟁점이 아닌 경우에는 제2심 공동체 특허법원에 항소할 수 있다. 공동체 특허조약에 따르면, 특허와 직접관련이 있는 쟁점에 대해서는 COPAC의 판결이 최종판결이며, 이에 대한 불복할 수 있는 제3심 법원은 존재하지 않고, 의정서 제29조에 의거 체약국내 제3심법원인 대법원에 상고할 수 있다.
특허요건
신규성
유럽특허법에서 발명은 선행기술(the state of the art)을 포함하지 않는다면 신규한 것으로 본다. 이 선행기술은 간행물이나 공지, 공개 등에 의해서 유럽출원의 출원일전에 일반공중에게 이용 가능한 상태에 놓여진 모든 것으로 정의된다. EPO에서는 신규성의 범위는 매우 좁다고 볼 수 있다. 즉, 본 발명과 공지기술간에 약간의 차이만 있다면 신규성은 일단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진보성
발명이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지 않다면, 이 발명은 진보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발명의 수준"또는 "발명의 고도"의 개념이 고려되기보다는 그 발명의 진보성이 있느냐, 없느냐만이 고려된다.

산업적 이용 가능성
발명은 그 대상이 농업을 포함한 산업분야에 있어서는 제조 또는 실시 할 수 있는 것이 될 때에는 산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특허받을 수 없는 발명
발견 또는 학문상의 이론 또는 수학상의 방법, 미학상의 형태 창작, 지적 활동, 게임 또는 사업 활동에 관한 법칙 또는 방법, 정보처리 장치를 위한 프로그램, 정보의 재현, 의학적인 치료, 생물학상 방법(단, 미생물학상의 방법은 제외한다.) 에 해당되는 것은 특허될 수 없다.